본문 바로가기
life(건강)상식

20가지 우리몸을 보호하는 자연스런 행동과 반응 알아보기

by ¬Æ○¬Æ¬Æ◁e★£◁¬ÆÙ¬Û°¬◁Æ£¬Æ 2021. 4. 4.
반응형

우리몸에 닭살은 왜 돋는것일까요? 놀랍게도 닭살이나 하품 이런 일상적이며 자연스런 행동들은 모두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하네요. 그렇다면 20가지 행동을 알아보겠습니다.

1. 하품. 하품은 뇌의 온도를 내리는 행동으로 턱을 벌려 두개골에 흐르는 혈액의 양을 증가시키고 우리가 동시에 숨을 들이마실 때 공기는 그 혈류의 온도를 변화시켜 뇌에 더 시원한 피를 가져다 주는 행동입니다.

 

 

2. 아이스크림 먹을때 찾아오는 두통은 차가운 것을 먹을 때 머리가 띵해지는걸 경험할 수 있는데요. 이것을 아이스크림 두통 이라고 합니다. 이 아이스크림 두통은 몸의 온도인 37도보다 낮은 물질이 몸에 들어올 때 자극을 받으면 뇌는 몸을 보호하기 위해 혈관을 좁히고 따뜻한 피를 뇌로 더 많이 보내는데 이때 뇌 혈류의 양이 급격히 변하면서 두통이 생기는 것이죠.

 

 

3. 벌레 물린 후 가려움은 벌레의 침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면역체 계에서 히스타민을 생성해 벌레 물린 주변 피부가 가려워집니다. 그리고 림프구가 벌레에 물린 곳으로 가 침을 없애려 해 물린 부위가 부으면서 간지러워지는 것이죠.

4. 재채기는 이물질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합니다. 알레르겐이나 미생물 같은 것들을 코의 통로에서 없애버리기 위해서인데요. 이물질이 코에 들어가면 뇌간에서 목, 눈, 입 을 다물라는 신호가 전달되고 그러면 가슴이 조여오고 목이 이완되며 이물질을 쫓아내게 됩니다.

 

 

5. 속눈썹은 먼지, 모래, 습기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무언가가 눈에 너무 가까이 다가왔을 때, 눈을 깜빡이는 반사작용을 일으켜 아무것도 눈에 들어오지 않게 감지합니다.

 

 

6. 땀은 기본적으로 체온조절을 합니다. 만약 땀으로 잠에서 깬 적이 있다면 그건 아마도 몸이 심각한 것을 말하려고 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땀을 흘리는 것은 염증을 가라앉히고 해독하기 위한 몸의 시도입니다.

 

 

7. 열이 있다는 것은 몸에서 평범하지 않은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열은 몸의 온도조절기라고도 알려진 시상하 부가 정상 체온의 설정점을 위로 이동할때 발생하는데요. 이렇게 되면 몸이 시들 해지고 옷을 겹겹이 덧입거나 몸을 떨면서 더 많은 체온을 발생시켜 결국 체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8. 추위의 떨림은 추울 때 몸이 덜덜 떨릴 때가 있죠? 그건 몸을 떨면서 체온을 올리려고 하는 것 입니다. 그리고 백혈구 생산을 가속화하고 박테리아 번식을 늦춤으로써 감염에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9. 닭살은 각 털에 붙어 있는 축소된 근육의 수축에 의해 발생합니다. 수축은 몸이 차가워질 때마다 털들이 일어서게 하는데 털이 두꺼운 동물에서는 이렇게 털이 솟아오르는 것이 단열재 역할을 하는 공기층을 확장시킵니다.

 

 

10. 붓기는 부상을 당하거나 병을 앓는 동안 유체와 백혈구가 염증 부위로 이동하면서 생긴 결과입니다. 만약 손, 발 또는 다른 신체 부위가 부어오른다면 그것은 의학적인 관심을 필요로 한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11. 기침은 감기나 다른 질병의 증상일 수 있지만 몸이 이물질, 자극제, 미생물, 알레르기 유발제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고압 상태에서 허파의 공기를 빼내 이물질로부터 목을 맑게 하려는 행동입니다.

 

 

12. 설사는 뭔가 의심스러운 것을 먹거나 마실 때 몸이 그것을 밀어내는 방법으로 몸 안의 벌레를 씻어내서 장 안에 대량 서식하지 못하게 합니다.

13. 구토는 오염된 것을 먹거나 마실 때, 구토는 문제를 일 '으키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구토나 설사 같은 증상은 대개 오염된 음식을 먹거나 마신 후 몇 시간 안에 시작되며 대개는 스스로 사라집니다.

 

 

14. 트림은 더러워보일 수 있지만 위에서 과도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돕는 행동입니다. 윗배에 공기가 쌓이면 장기가 늘어나게 되는데 이는 입에서 위까지 이어지는 관을 자극해 긴장을 풀어줍니다.

 

 

15. 물집은 물집 안에 있는 맑은 액체인 혈청은 부상당한 피부에 대한 반응으로 주변 조직으로부터 분비 됩니다. 물집이 터지지 않으면 혈청은 그 아래 피부를 자연적으로 보호해주어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6. 위산은 위장에 의한 염산 분비 즉, 위산은 음식이나 물로 섭취된 병원균을 죽여 신체를 보호하는 신체 보호물질 역할을 합니다.

 

 

17. 저림은 오랫동안 같은 자세로 있을 때 몸의 그 부분이 저리기 시작하는데, 이것은 신경이 필요로 하는 혈류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신체로부터의 경고입니다.

 

 

18. 귀지는 평소에 귓속을 청소하는 습관이 있을지 모르지만, 귀지는 사실 중요한 기능을 하기 위한 것으로 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지며 윤활성과 항균성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19. 상처 딱지는 긁히거나 까졌을 때 피가 난 후 딱지가 앉습니다. 이 딱지는 세균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하며, 상처가 치유될 때 이를 덮어두고 피부가 재생될 때 새로운 피부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이 딱지를 밀어냅니다.

20. 손톱은 손가락 윗부분의 부드러운 피부를 보호해 줄 뿐만 아니라 건강의 지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움푹 들어간 손톱은 염증성 관절염이나 건선증의 초기 지표일 수 있고, 노란 손톱은 곰팡이 감염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간이나 신장 질환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